Posts

Showing posts from August, 2018

PGWP로 배우자 오픈 워크퍼밋 받기

PGWP(Port-Graduate Work Permit)을 가진 사람의 배우자도 OWP(Open Work Permit)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생비자를 가진 사람의 배우자는 조건없이 가족관계 서류증명만 하면 OWP를 받을 수 있지만 PGWP는 한 가지 조건이 있습니다. 바로 PGWP를 가진 사람이 취업을 해야합니다. PGWP를 갖고만 있고 직장이 없다면 배우자는 OWP를 받을 수 없습니다. 취업 후 3번의 Payslip을 증명하면 그의 배우자는 OWP를 받을 수 있습니다. 캐나다는 Bi-weekly pay가 일반적이므로 이론적으로 PGWP holder가 6주를 일하면 배우자 OWP를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첫 째딸의 여름방학을 맞아 와이프와 아이들이 6월 중순부터 두 달간 한국에 다녀왔습니다. 가족이 한국에 다녀오는데 한가지 걱정이 있었는데 바로 비자만료기간이었습니다. 2년 전 대학원 입학을 위해 캐나다에 오면서 받은 와이프의 OWP와 아이들의 Visitor record가 2018년 9월 30일부로 만료가 되는 것이었죠. 물론 입국일은 8월 19일이었기 때문에 만료 전이지만 만약 공항 이민국에서 괜히 딴지를 걸면 영어가 서툰 와이프가 당황하고 고생할게 마음에 걸렸습니다. 비자 만료일과 더불어 아빠 없이 엄마 혼자 아이들을 데리고 여행한 부분에 대해서도 혹시 딴지를 걸까봐 이에 대한 설명을 편지형식으로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부모 중 한명만 아이들을 데리고 여행하는 부분은 아이들이 시민권자일 경우에 반드시 다른 한사람의 동의가 필요하고 알고 있는데 저흰 외국인 신분이지만 혹시 몰라 함께 준비하기로 했죠. 먼저 가족이 한국에 갈 때 제 Job offer와 이전에 받은 study permit 및 co-op work permit의 사본을 함께 보냈습니다. PGWP는 이 후에 받았기 때문에 PGWP를 받은 후 편지를 작성해 함께 메일로 보냈죠. 와이프는 제가 메일로 보낸 두 서류를 출력하여 캐나다에 입국했습니다. 편지의 내용은 기본적인 제 소개와 와이...

캐나다 온타리오 미리보기 - 마트 편

Image
St. Catharines주변에 보이는 매장 위주로 개인적인 의견이 반영된 글이므로 다른 도시에 사는 분들 또는 객관적인 사실과는 다소 다를 수 있음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전단지 모음 어플인 Flipp을 다운받거나 해당 웹사이트( https://flipp.com )를 방문하시면 각 브랜드가 어떤 물품을 파는지 알 수 있습니다. 여기 와서 가장 혼란스러웠던 것이 식료품점의 브랜드였습니다. 식료품점으로 느껴지지 않는 이름들이 많았기 때문이죠. 이 글을 통해 "아 저 브랜드는 식료품점이구나" 정도만 알게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Food Basics 브랜드에서 이미 식료품점임을 여실히 보여주는 매장입니다. 딱 적당하고 무난한 식료품점입니다. FreshCo No Frills와 함께 저가형 식료품 브랜드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Bunting Street과 Welland Avenue에 위치한 매장엔 목, 금, 토 저녁에 근처 과수원 농부들이 단체로 와서 장을 보기 때문에 매우 번잡합니다. Metro Sobeys와 함께 고급 식료품점을 표방하는 브랜드입니다. Giant Tiger 작은 (매우 작은) Walmart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식료품점보단 백화점으로 느껴지기도 합니다. Sobeys 매장의 분위기나 배치 등이 여타 일반, 또는 할인 식료품점과는 다릅니다. Metro, Zehrs와 비슷한 느낌입니다. Real Canadian Superstore 4th Avenue에 위치해있습니다. 거대 유통회사인 Loblaw의 자회사이며 Walmart와 Giant Tiger의 중간쯤 위치한 규모로 보여집니다. 즉 순수 식료품점이기보단 백화점의 느낌이 있습니다. Zehrs 이름 및 발음 자체가 참 어색한 식료품점입니다. Real Canadian Superstore와 No Frills 및 Shoppers Drug Mart와 함께 Loblaw의 자회사 입니다. Real Canadian Superstore에 비해...

복권 당첨과도 같은 NOI, 석사이민은 Bye

3년 전, 이민을 결심하고 본격적으로 이민 박람회를 다니고 인터넷 검색을 하며 정보를 취합했습니다. 제게 가장 유리했던 석사이민으로 Plan A를 결정하고, 유학원을 통해 대학원을 지원해 최종적으로 Brock MBA-ISP에 진학하게 되었죠. 당시 너무나 부족했던 정보에 답답해서 시작한 것이 바로 이 블로그입니다. 블로그 덕분에 스스로도 정보를 정리할 수 있었고 다른 분들에게 도움이 된다는 뿌듯함도 얻게 되었으며 몇몇 인연도 얻게 되었죠. 약 3년간 석사이민만 보고 달려왔습니다. Plan B,C,D는 있었지만 어디까지나 석사이민이 틀어졌을 때를 대비한 아이디어 수준이었습니다. 석사이민을 지원할 예정이던 올해 9월 또는 10월까지도 특별한 틀어짐이 없을걸로 예상되었으므로 석사이민 지원을 위한 서류를 모두 준비해둔 상황이었습니다. 이 쯤에서 Plan을 다시 정리해보면, Plan A: 석사이민 - Job offer 필요없음, 대학원 졸업 후 CLB 7의 영어점수로 지원가능, 최근 지원자가 몰려 접수 시작 시 한 두시간안에 접수해야함, 영주권 취득에 18~24개월 Plan B: Express Entry - 점수제로 최근 440점대가 합격선, 젊은 나이, 캐나다 학력, 캐나다 경력, 높은 영어점수가 필요, IELTS CLB 9 (Listening 8점, 나머지 7점)를 받으면 440점이 넘음, 영주권 취득에 4~6개월 Plan C: 석사이민 외 온타리오 주정부 이민, Job offer 필요함, Job offer 회사의 많은 서류 및 정보가 필요해 까다로움 Plan D: 타주 이동 입니다. 석사이민을 준비하는 와중에 백업으로 Plan B도 준비중이었기 때문에 EE 프로파일은 갖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점수가 408점으로 합격선은 아니었지만 CLB 9를 받으면 440점을 넘기 때문에 취약한 라이팅을 집중적으로 공부하여 마지막이란 생각으로 2주전 시험을 봤습니다. 이번에 CLB 9을 받지 못하면 영주권 받는 기간에 큰 차이가 있지만 미련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