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캐나다 취업 성공기 (2) - 코업의 첫 주

캐나다 취업 성공기 (1) - 코업 취업 에 이은 두 번째 이야기입니다. 2018년 1월 8일 첫 출근을 앞두고 참 많이 걱정하고 긴장했습니다. 매니저와는 전화인터뷰로만 대화를 한 거라 첫 출근에 첫 대면식이었으니까요. 출근 전날 메일을 보냈습니다. 나: "날 뽑아줘서 너무 고맙다. 몇시까지 출근하면 될까?" 매니저: "너와 함께 일하게 되어 기쁘다. 출근시간은 너가 알아서 하면 된다." 나: (내가 알아서?) "너가 생각하는 적절한 출근시간은 몇시일까?" 매니저: "난 내일 회사에 없을거야. 한 11시쯤 오면 XXX(시니어)가 도와줄거야." 나: (회사에 없다고? 11시???) "11시도 좋겠지만 난 첫 출근이니까 8시에서 9시 사이에 가야할 것같은 마음이야. 그렇게 할게. (답정너)" 매니저: "응. 아무때나와. 8시반 이후에 XXX(시니어)가 있을 거니까 그 이후에만 오면 돼" 한국에서 시스템으로 초단위로 출퇴근을 체크하던 회사를 다니던 제겐 매우 충격적이고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대목이었습니다. 코업 신입이 가장 먼저 가있지는 못할 망정 11시쯤 오라니요. 결국 전 8시 반쯤 도착하여 매니저가 없는 팀원들과 첫 대면을 했습니다. 가뜩이나 긴장했는데 시니어가 영국사람이라 액센트때문에 더 고생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그렇게 시작된 제 코업 생활은 시작 전 제가 머리속으로 그렸던 생활과는 매우 다르게 흘러갔습니다. 매니저와의 첫 면담시간의 대화를 정리해봅니다. 매니저: "너의 가장 최근 고민거리가 뭐야?" 나: "덕분에 코업 취업되서 너무 좋아. 근데 이제 정직원 알아봐야지." 매니저: "너 코업 끝나고 학교 돌아가는거 아니야?" 나: "아니야. 내 학교 프로그램은 모든 수업 마치고 마지막에 코업을 해." 매니저: "그렇구나. 내가 도와줄게. 내가...

캐나다 취업 성공기 (1) - 코업 취업

이민의 성공을 판단하는 요소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영주권 획득과 취업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영주권을 획득했다고 해도 취업을 하지 못한다면 생활에 어려움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영주권보다는 취업이 더 중요하다고 볼수도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연락을 주시는 분들이 꼭 물어보는 질문 중에 하나가 취업에 관한 것입니다. 제 경험이 미래가 두렵고 막막한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라는 마음에 기억을 되짚어 정리해봅니다. 최근 대부분의 컬리지 및 대학교에서 코업이 필수입니다. 제가 다닌 Brock대학교의 MBA는 대학원임에도 코업이 가능했습니다. 필수로 해야하는 건 아니었고 희망자에 한해 코업 프로그램을 할 수 있었습니다. Brock 코업의 필수 요건이 두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코업 수업 수료, 다른 하나는 IELTS Overall 7.0 제출(또는 그에 상응하는 토플점수)입니다. 코업 수업은 MBA과정의 두 번째 학기에 매주 2시간씩 이력서 작성, 인터뷰 요령 등의 강의를 듣게 되며 수업 종강까지 IELTS 7.0의 성적표를 제출하면 마지막 네 번째 학기를 마치고 코업을 진행할 요건을 충족하게 됩니다. 마지막 네 번째 학기에 코업 학생은 매우 바쁩니다. 다섯 과목의 수업에서 쏟아지는 과제, 프로젝트와 시험과 더불어 코업잡을 직접 찾아 지원해야하죠. 코업 오피스에서 코업잡을 모아서 보여주는 포탈을 제공하지만 외부에도 많은 기회가 있기 때문에 코업잡 찾기만 해도 바쁜 시간을 보내게 됩니다. 저는 RBC라는 은행을 집중적으로 공략했습니다. RBC는 코업학생을 매우 많이 뽑기로 유명해서 확률이 더 높을거라 생각했죠. 결과적으론 다섯 번의 인터뷰 끝에 코업에 합격했습니다. 한 자리를 다섯 번의 인터뷰를 거쳐 합격한게 아니고, 네 번을 떨어지고 다섯 번째에 붙은 겁니다. 제 경력 및 이력에는 자신이 있었지만 문제는 영어였던 것 같습니다. 두 번의 그룹 인터뷰, 한 번의 1:1 인터뷰, 한 번의 화상 1:1 인터뷰 등 각각 다른 팀 비슷한 포지션으로...

캐나다에서 교통사고 발생 시 대처 방법

얼마 전 와이프가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아이들을 태우고 집으로 돌아오던 와이프가 삼거리에서 신호등 초록불을 대기하던 중 뒤에서 다른 차가 후방 추돌을 하였습니다. 집에서 기다리던 저는 갑자기 사고를 당했다는 와이프의 전화를 받고 당황하였지만 급하게 밴쿠버에 사는 여동생에게 도움 및 조언을 요청했고 그 정보를 기반으로 현장 대처를 잘 하였습니다. 여동생도 비슷한 사고를 당한 적이 있어 대처 방안에 있어 큰 도움을 받았습니다. 이 글을 읽으시는 분들도 추후에 혹시라도 발생할 수 있는 안좋은 상황을 잘 대처하시길 바라는 마음에 이번 사고와 예전에 뺑소니를 당한 사고 상황을 바탕으로 대처 방안을 정리해 봅니다. 1. 뺑소니 사고 이 사고는 Home Depot 주차장에서 일어난 사고입니다. 가족들과 함께 쇼핑을 마치고 다같이 차로 돌아가는 중에 제 눈으로 사고를 목격하였습니다. 주차 중이던 트럭이 후진으로 차를 빼는 중이었고 후진하는 방향에 제 차가 있었습니다. 후진 하던 트럭은 제 차를 인지하지 못하고 그대로 제 차 후방 범퍼를 접촉하였습니다. 제가 바로 앞에 있었는데 트럭은 그대로 주차장을 벗어나 가버렸습니다. 제가 쫓아가려 했지만 아이를 안고 있었고 너무 갑작스러웠으며 트럭이 빠른속도로 가버려 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번호를 보려했지만 당황스러운 상황에서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습니다. 후방 범퍼에 자그마한 상처가 난, 큰 피해는 아니었지만 엄연히 뺑소니 사고이기 때문에 보험사에 사고 Claim을 했습니다. 보험사에서 뺑소니로 Claim을 하려면 경찰 사고번호가 있어야 한다고 하여 경찰에 신고를 했습니다. 사고번호는 전화로 신고 시에 받았고 경찰관이 밤 늦게 집으로 찾아와 상황 설명을 듣고 추후 대처방안에 대해 친절히 설명해주었습니다. 제가 상대 차번호를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고 피해도 적기 때문에 사고번호를 보험사에 전달하여 처리하는게 가장 좋다고 말해주었습니다. 사고번호를 보험사에 전달하여 뺑소니를 인정받고 제 과실이 ...

캐나다 연방정부 이민 VS 주정부 이민

미국, 호주 등과 같이 여러 주가 연합하여 국가를 이루는 캐나다는 이민법도 연방 이민법과 주정부 이민법으로 나뉩니다. 주정부 이민도 최종 단계에 가서는 연방 정부의 최종 승인을 받아야만 영주권을 딸 수 있지만 연방 이민에 비해 좀 더 다양한 스트림을 제공하기 때문에 연방 이민에 어려움을 겪는 분들에게 주정부 이민은 매력적인 선택지가 됩니다. Express Entry는 연방 이민의 자격을 심사하는 큰 축이며, 석사 이민은 주정부 이민 중에 매우 인기가 많은 스트림 중 하나입니다. 다만 연방 이민은 영주권을 받는 기간이 상대적으로 빠르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가 서술하는 정보는 혼자 공부하거나 경험을 통한 지식이기 때문에 100% 정확하다고 할 수 없습니다. 참고 부탁드리며 틀린 점이나 수정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댓글이나 메일 부탁드립니다. 연방 이민 캐나다 연방정부는 2015년 Express Entry라는 점수 이민제를 소개했습니다. Express Entry를 적용하기 전에 이민을 결정하는 세 큰 틀(FSWP, CEC와 FSTP)는 그대로 유지하지만 이를 지원하기에 앞서 모든 지원자에게 Express Entry의 CRS(Comprehensive Ranking System)을 적용해 높은 점수 순으로 영주권을 발급하는 시스템입니다. FSWP(Federal Skilled Workers Program) 은 최근 10년안에 NOC 0, A, B에 해당하는 직군에서 1년이상의 경험이 있는 사람을 뽑는 프로그램이며, CEC(Canadian Experience Class) 는 최근 3년안에 NOC 0, A, B에 해당하는 직군에서 1년 이상의 캐나다 경험이 있는 사람을 뽑는 프로그램이며, FSTP(Federal Skilled Trades Program) 은 최근 5년안에 NOC B에 해당하는 특정 직군에서 2년 이상의 경험이 있는 사람을 뽑는 프로그램입니다. FSWP는 자체 점수 조건이 있으며 이 점수가 67점 이상이어야 자격이 됩니다. 자세한 점수 ...

캐나다 이민용 신체검사 받기 (Upfront Medical Exam)

Express Entry의 필수 절차 중 하나가 Medical Exam입니다. 보통은 Express Entry 추첨 후 IRCC(구 CIC)에서 지원자에게 신체검사를 받으라는 안내를 하지만 지원자가 미리 신체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Upfront Medical Exam이라고 합니다. 저는 현재 Express Entry 프로파일 점수가 1000점을 넘기때문에 다음 추첨에 뽑히는게 확정이라 Upfront Medical Exam을 하기로 결정하였고 오늘 그 신체검사를 받았습니다. 영주권 신청을 위한 신체검사는 IRCC에서 인정하는 의사에게 받아야하며 자세한 정보는  여기 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 에서 국가와 주 등을 입력하면 신체검사를 받을 수 있는 의사 및 위치 정보 등이 나옵니다. 전 집에서 가까운 곳 중 예약날짜와 가격 등을 비교해서 옥빌에 위치한 Dr. Alex Lui 클리닉에서 받게 되었습니다. 가격은 성인 검진 $150, 10살 이하의 아이는 $100이었습니다. 이는 Dr. Alex Lui 클리닉에만 내는 가격이며 현금과 체크로만 지불이 가능했습니다. 성인은 추가로 X-ray검사와 피검사가 필요하며 이는 각각 $45, $15이었고 신용카드 결제가 가능했습니다. 저는 성인 2, 아이 2로 총 $620의 큰 돈이 들었습니다. 지금부터는 제가 겪은 신체검사 과정이며 각 국가, 클리닉마다 과정 및 경험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약속시간에 맞춰 클리닉에 도착하니 리셉션 직원의 안내에 따라 대기를 했습니다. 이름이 불리고 아이를 포함 모든 검진자의 사진을 찍었습니다. 사진 촬영 후 곧바로 소변검사를 했고 저, 와이프, 첫째 아이, 둘째 아이 순으로 의사 검진을 받았습니다. 의사 검진은 일반적인 질병 질문(암이 있는지, 간/폐에 이상이 있는지, 혈압이 높은지, 꾸준히 복용하는 약이 있는지 등의 No만 해도 되는 질문들)을 완료한 후 시력 검사, 키, 몸무게 측정, 귀, 목 검사 등 매우 기본적인 검사를 했습니다. 아이는 ...

온타리오 주정부 이민 HCP (Human Capital Priorities) 타임라인

8월 9일 생각치도 못한 NOI를 받고 폭풍과도 같은 한달 반이 지났습니다. 석사이민을 위해 준비해놓은 많은 서류들 덕분에 HCP 지원을 빠르게 할 수 있었고 약 6주만에 Nomination을 받게 되었습니다. 업체의 도움을 받지않고 모든걸 스스로 하기때문에 시행착오도 있고 시간도 조금 더 걸리게 되었지만 결국 성공적으로 진행하였고 이제 Express Entry의 ITA를 기다리게 되었습니다. HCP 지원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추후에 다룰 예정이며 오늘은 대략적인 타임라인을 공유하려 합니다. 다른 HCP 지원자의 타임라인은 Myimmitacker.com 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민 관련 질문이나 정보는 Canadavisa.com 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저의 타임라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3월 28일 : Express Entry 프로파일 작성 (작성 당시 CRS 350점대) 8월 09일 : 온타리오주 NOI (Notification Of Interest) 받음 (캐나다 대학원 졸업으로 작성 당시보다 50점 가량 오른 CRS 408점) 8월 13일 : HCP 지원 완료 (지원료 1500불 지불), 파일넘버 발급, 지원서 Status: Submitted 9월 06일 : Email로 지원서 미완성 공지 받음 (Incompletion of application letter). 9월 06일 : Email 안내대로 WES 홈페이지에 들어가 한국 대학교 학력 인증서를 온타리오 주에 발송 (추가 인증서 42불 지불) 9월 12일 : 지원서 Status가 Assessment로 변경 9월 14일 : Email로 추가 정보 요청 받음 (Additional information required letter) 9월 20일 : Email 안내대로 한국 경력 증명서를 재 작성하여 전송 9월 20일 : 지원서 Status가 Decision In Progress로 변경 9월 21일 : 지원서 Status가 Approved로 변경, Express Entry 프로파...

OHIP(Ontario Health Insurance Plan) 신청하기

한국에 국가에서 보장해주는 의료보험이 있듯이 캐나다에도 각 주마다 주민들에게 보장해주는 의료보험이 있으며, 온타리오주는 OHIP(Ontario Health Insurance Plan)이라는 이름으로 의료보험을 보장해주고 있습니다. OHIP 홈페이지 OHIP은 시민권자 또는 영주권자 중 온타리오에 최근 6개월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 보장이 되는 의료보험이지만 몇몇 예외적으로 OHIP의 보장을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으며 그 중 하나가 워크퍼밋 보유자 입니다. OHIP 홈페이지 신청조건 워크퍼밋을 보유했다고 무조건 신청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온타리오 주에 위치한 회사에 풀타임으로 6개월 이상 근무하는 조건에 부합할 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은 ServiceOntario에서 할 수 있으며, St. Catharines 및 Niagara 지역은 St. Catharines 다운타운에 있는 ServiceOntario 지점에서만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지참해야하는 서류는 주소지를 증명할 수 있는 신분증이나 서류, ex) 운전면허증, 소득증명서 등 여권 워크퍼밋 Employment Letter 신청서 입니다. 신청서는 ServiceOntario에서 받아 작성하시면 됩니다. 배우자가 있을 경우 배우자의 여권과 주소지 증명 서류, 비자서류 (워크퍼밋, 스터디퍼밋 또는 비지터레코드)와 신청서가 필요합니다. 만 16세 이하 자녀는 직접 방문없이 처리가 가능하며 이 때 자녀의 여권과 비자서류, 신청서가 필요합니다. 만 17세 이상의 자녀는 직접 방문을 해야합니다. 직접 방문이 필요한 성인 및 만 17세 이상 자녀의 경우 현장에서 사진을 찍고 사인을 하게 됩니다. 까다로운 것 중 하나가 바로 Employment letter입니다. 이 편지에는 반드시 회사로고 (Letterhead)가 있어야하며, 고용인의 싸인과 날짜가 적혀있어야 합니다. 편지에 반드시 써있어야 하는 내용은 본인이 Full-time으로 일하고 있...